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dobe
- ActionScript
- Flex
- 주식
- 물리엔진
- 3.0
- Genome2D
- XAML
- framework
- 실버라이트
- 도서
- starling
- Silverlight
- 플렉스
- stage3d
- Air
- Papervision3D
- 어도비
- API
- Flash
- 액션스크립트
- 워렌 버핏
- 책
- Microsoft
- 마이크로소프트
- Papervision
- 아폴로케이션
- 플래시
- 3D
- 아폴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29)
WonHada.com으로 이전
어도비 AIR에는 SQLite라는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사용도 아주 간편하고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합니다..특히 기존의 SQL과 거의 동일한 구문으로 작성이 가능하므로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PHP 5에도 SQLite가 적용되었는데요..AIR의 한글 문서가 없으니 PHP 문서를 통해 SQLite에 대해 알아보죠.. SQLite는 SQL 92 표준에 맞춰 구현된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이다. SQLite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처럼 데몬을 구동하는 방식이 아니라, 엔진이라 할 수 있는 하나의 라이브러리에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병합한 형태다. 게다가 데이터를 단지 파일 하나에만 저장하는 방식이다. SQLite는 내부 구조가 최대로 튜닝 되어 있고 다른 ..
① 조조할인의 법칙 ② 발설의 법칙 ③ 탈의의 법칙 ④ 멘토의 법칙 ⑤ 소문난 잔치의 법칙 ⑥ 장미의 법칙 ⑦ 황금 분할의 법칙 ⑧ 새벽의 법칙 :: 자세한 내용 보러가기 ::
저랑 이웃이 되고 싶으신 분은 아래 주소로.. http://englekk.idtail.com 이벤트 소개 페이지 http://www.idtail.com/event/invite/all
내년 7월경 이사를 대비해서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시간은 좀 남았지만 여유가 있을 때 알아놓는게 좋을 듯 하다..다양하게 공부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을 것이다.. 모기지론..관심은 있었기에 어떤 것인지는 대략 알고 있었다..하지만 좀 더 확실하게 아는게 좋을 것 같아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 다녔다.. 모기지론과 역모기지론 http://www.wolse.com/data/rinfo/rinfo17.html 모기지론 이용하기 http://blog.naver.com/mungmunganet?Redirect=Log&logNo=80002915246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도 좋지만 최근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은행을 방문해 볼까 한다.. 내 인생에서 기본으로 갖춰야 할 목록 1호가 집인 만큼 더 많은 발품을 팔고 ..
윈도우 부팅 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고 싶다면 아래 속성을 이용하세요.. NativeApplication.nativeApplication.startAtLogin Boolean값(true, false)을 가집니다..즉.. NativeApplication.nativeApplication.startAtLogin = true; //시작프로그램에 등록 NativeApplication.nativeApplication.startAtLogin = false; //시작프로그램에서 제거
플래시 CS3 컴포넌트 직접 만든 컴포넌트 Button 16 KB 7 KB ScrollBar 19 KB 14 KB ScrollPane 22 KB 20 KB 기본 스킨, API 등 거의 동일하게 제작된 상태에서 파일 용량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위 표를 보고 어떤 느낌을 받으셨나요? 전 기본 컴포넌트의 경우 굳이 직접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왜냐하면.. 1. 용량 차이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 예전 버젼의 컴포넌트들은 상당히 컸는데 CS3의 컴포넌트들은 정말 가볍습니다. 2. 플래시 컴포넌트들이 훨씬 더 플래시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건 말하지 않아도 다들 수긍하시리라 생각합니다. 혹시 Adobe 개발자보다 플래시에 더 최적화된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다고 자부하시는 분들은 아래에 덧글을 ..
PBR과 PER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수치이다..재무재표와 같이 기업에서 임의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의해서 적용해야 한다..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주당순자산 주당순자산 = 순자산 / 발행주식수 현재가 10,000원인 세 기업이 있다. A는 주당순자산이 10,000원, B는 5,000원, C는 20,000원이라면, A기업은 10,000/10,000 = 1 PBR (주가가 주당자산가치와 같음) B기업은 10,000/5,000 = 2 PBR (주가가 주당자산가치에 비해 고평가 됨) C기업은 10,000/20,000 = 0.5 PBR (주가가 주당자산가치에 비해 저평가 됨) PER(주가수익비율) = 주가 / EPS(주당순이익) EPS(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

투기의 대부 '조지 소로스' "경제사는 허상과 허구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다. 경제는 진실한 시나리오에 의존해 발전한 적이 한 번도 없었지만 거액의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허상을 재빠르게 인식해 집중 투자한 다음, 허상의 실체가 대중들에게 노출되기 전에 게임에서 슬며시 빠져야 한다." 투자의 대부 '워렌 버핏' "모든 사물에는 본질적인 특징이 있으며, 허상과 허위는 언젠가 베일이 벗겨지게 마련이다. 체계적인 논리로 현상의 본질을 꿰뚫어봄으로써 주식의 장기적인 내재가치를 판단해 낼 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