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apervision
- 3.0
- 플래시
- 책
- adobe
- 물리엔진
- ActionScript
- 워렌 버핏
- 주식
- 실버라이트
- Flex
- XAML
- 플렉스
- 액션스크립트
- Microsoft
- Air
- Silverlight
- stage3d
- 아폴로
- 도서
- 3D
- Papervision3D
- API
- 어도비
- Flash
- framework
- Genome2D
- starling
- 마이크로소프트
- 아폴로케이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29)
WonHada.com으로 이전
실버라이트(silverlight)에서 웹서비스 메소드를 호출하는 예제입니다.. 예제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파일..(http://silverlight.net/GetStarted/ 에서 다운가능) - 비주얼 스튜디오 2008 베타 2 (VS2005도 가능할거 같지만 이왕이면 2008로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 실버라이트 1.1 리프레시(런타임) - Microsoft Silverlight Tools Alpha Refresh for Visual Studio (July 2007)1.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2. 아래 번호 순서대로 따라하세요. 3. Page.xaml 코드를 아래 코드와 같이 작성..(복사 -> 붙여넣기) 호출 버튼과 결과를 출력할 TextBlock을 넣는 과정.. 4. Page.xaml...
private 생성자가 지원되지 않는 AS 3.0에서는 아래와 같이 싱글턴 패턴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package { public class Singleton { static private var _instance:Singleton; public function Singleton(singletonEnforcer:SingletonEnforcer) { if (!(singletonEnforcer is SingletonEnforcer)) throw new Error("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 public static function getInstance():Singleton..
이번엔 폭탄을 터뜨려 보겠습니다.. 우선 이번에 만들어 볼 예제를 보시죠..아래에서 빈 곳을 클릭하세요.. 마구마구 누르면 아주 난리가 나죠? ㅋㅋ 이번에 알아볼 것은 객체가 아니고 FisixObject 클래스의 explode() 메소드 입니다.. explode(pos:Vector, force:Number, recursive:Boolean = true):void예제에서 본 것처럼 해당 포인트(pos)에 힘(force)을 순간적으로 전달합니다..폭발하는거죠.. 메소드 하나이니 간단하죠? 설명은 이정도만^^수고하셨습니다..
우선 이번에 만들어 볼 예제를 보시죠..아래에서 빈 곳을 클릭하세요..Constraint 는 사전적으로 '제한, 속박, 부자연스러움, 뻣뻣함'을 의미합니다.. 제약논리프로그래밍 (制約論理- constraint logic programming)이란 것도 있네요..위 예제를 보시면 각 객체들을 연결하고 있는 선들 있죠? 그게 Constraint 입니다.. 객체들을 서로 엮어서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거죠..Poser나 After Effects 에서 피봇을 설정해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죠..Fisix가 지원하는 Constraint는 아래와 같습니다..AngularConstraint(pA:Particle, pB:Particle, pC:Particle, minA:Number = -1, maxA:Number = -1, ..
이번에는 세가지를 동시에 살펴보죠.. 우선 이번에 만들어 볼 예제를 보시죠..아래에서 빈 곳을 클릭하세요..위쪽 두개를 보시면 이전에 보았던 Surface와 유사해 보입니다..그런데 이번것은 움직이고 크기도 변하죠.. 바로 DynamicSurface 입니다..원래는 아래로 떨어지는데 제가 임의로 한 곳을 고정해 놓았습니다.. DynamicSurface(pA:Particle, pB:Particle, rad:Number = 0)그리고 아래 노란줄 보이시죠? Rope라는 오브젝트 입니다.. Rope(startPos:Vector, endPos:Vector, segments:uint, thickness:Number = 1, stiffness:Number = 1, breakPoint:Number = 0, mass:..
이번엔 CirclePartic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번에 만들어 볼 예제를 보시죠..아래에서 빈곳을 클릭하세요..지난번에 봤던 소스의 Surface는 위의 가장자리와 아래쪽 기둥들에 쓰였습니다.. Surface는 두개의 Vector와 반지름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첨부한 소스를 참고하세요..자, 그럼 CircleParticle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일단 생성자를 보시죠.. CircleParticle(x:Number, y:Number, rad:Number) x, y 위치와 반지름을 넘겨주면 동그라미가 하나 생성됩니다..위의 예제에서는 저항들과, 클릭할때마다 생성되는 동그라미가 CircleParticle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근데 보시면 둘은 차이가 있습니다..저항은 고정되어 있고 떨어지..
FisixEngine의 기본 설정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1. FisixEngine 인스턴스 생성 2. 반응모드 설정(NONE: 비물리 모드, PHYSICAL: 물리 모드) 3. 중력설정 4. 렌더링 여부 설정(기본: false) 5. 렌더링 할 그래픽스 오브젝트 설정(graphics에 draw를 합니다) 6. 엔진 시동위의 순서를 코드로 작성하면.. ====================================================== var myEngine:FisixEngine = new FisixEngine(); myEngine.setReactionMode(ReactionModes.PHYSICAL); myEngine.setGravity(0, 1 * stage.frameRate); myEng..
Fisix 사이트의 'Getting Started' 내용을 재구성 한 것입니다.Fisix 엔진은 다운로드 받으셨죠? 받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먼저 참조하세요. http://airdev.tistory.com/20 ================================================================== 1. 플렉스 빌더 메뉴 중 File - New - ActionScript Project 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명은 TEST로 하죠..다음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2. TEST 프로젝트가 만들어 졌습니다. 이제 라이브러리를 등록하겠습니다. 3. 메뉴에서 Project - Properties 를 선택합니다. 4. 아래 이미지의 번호 순서대로 선택합니다. 5. 아래 이미지의 번호..